“화를 참지 못하고 소리치는 아이, 이유 없이 짜증내는 아이…” 이런 모습을 보면 많은 부모는 “우리 아이 감정 표현이 너무 서툴다”며 걱정합니다.

하지만 감정 조절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가정 안에서 대화와 훈련을 통해 키워지는 능력입니다. 특히 부모의 말 한 마디, 반응 방식 하나가 아이의 정서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의 감정 조절력을 자연스럽게 길러주는 부모의 대화법 6가지를 소개합니다.

1. 감정을 판단하지 말고 ‘이해’로 받아들이기

“그 정도로 울 일이 아니야”라는 말은 아이에게 ‘내 감정은 잘못됐다’는 인식을 심을 수 있습니다.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 ✔️ “지금 많이 속상했구나.”
  • ✔️ “무서운 마음이 들었구나. 아빠가 여기 있어.”

부모가 감정을 인정해주는 순간, 아이는 스스로 감정을 관찰하고 받아들이는 힘을 키웁니다.

2.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법 가르치기

아이들은 ‘불편함’을 느껴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면 울거나 소리 지르는 것으로 반응합니다.

실천 예시:

  • ✔️ “슬플 때는 이렇게 말할 수 있어. ‘나 지금 슬퍼요.’”
  • ✔️ “화가 날 땐 ‘지금 화났어요’라고 말해볼까?”

감정 단어를 많이 접하게 할수록, 아이는 폭발보다는 표현을 선택하게 됩니다.

3. 아이가 진정되길 기다려주는 ‘감정 쉼표’

감정이 격해진 상태에서는 이성적 대화가 불가능합니다. 바로 가르치거나 혼내기보다는, 감정이 가라앉을 시간을 주세요.

예시 문장:

  • ✔️ “지금은 너무 화가 났지. 괜찮아질 때까지 기다릴게.”
  • ✔️ “숨 한번 크게 쉬고, 말해볼까?”

이 과정에서 아이는 ‘감정과 행동 사이에 여유를 둘 수 있다’는 중요한 개념을 배우게 됩니다.

4. 부모의 감정 표현도 보여주기

부모가 감정을 억누르거나 무표정하면, 아이는 감정을 ‘숨겨야 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예시:

  • ✔️ “오늘 회사에서 조금 속상한 일이 있었어. 그래서 말수가 줄었어.”
  • ✔️ “지금은 기분이 좋아서 네 얘기를 더 듣고 싶어.”

이런 말은 아이에게 감정을 솔직하게 나누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5. 감정이 아닌 ‘행동’을 지도하기

화내는 감정 자체를 혼내기보다는, 그 감정으로 인해 한 행동을 조율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예시:

  • ✔️ ❌ “왜 화내!” → ✔️ “화가 날 수 있어. 하지만 친구를 때리는 건 안 돼.”
  • ✔️ ❌ “짜증 좀 그만 내!” → ✔️ “짜증 날 땐 소리 지르지 말고 말로 해보자.”

감정은 괜찮지만, 행동은 선택 가능한 것임을 알려주는 게 핵심입니다.

6. 감정 조절 성공 경험을 언급해주기

아이가 감정을 잘 다스렸을 때는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세요.

예:

  • ✔️ “아까 동생한테 화났는데, 꾹 참고 말로 표현한 거 정말 잘했어.”
  • ✔️ “울지 않고 네 마음을 말해줘서 멋졌어.”

긍정적 피드백은 감정 조절 행동을 강화시킵니다.

결론: 감정 조절력은 부모의 말에서 자란다

아이의 감정 조절력은 단순한 훈육이 아닌 ‘정서적 훈련’의 결과입니다. 이 훈련은 말로 시작됩니다. 부모의 따뜻한 인정, 적절한 표현, 기다림과 공감이 아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오늘부터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는 말 한마디, 기다려주는 여유 한 번으로 아이의 감정 세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